[AWS]

2020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참여 후기

럭키🍀 2020. 11. 4. 19:54

kr-resources.awscloud.com/awsome-day-online-conference?sc_channel=em&sc_campaign=APAC_FIELD_T1_kr-awsome-day-online-q4_20201104_7010z000001LyQf&sc_publisher=aws&sc_content=field_webinar_field&sc_country=kr&sc_geo=apac&sc_category=mult&sc_outcome=field&campaign-id=em_awsome_day&trkCampaign=awsome-day-online&trk=em_awsome_day20q4_kr_odb&mkt_tok=eyJpIjoiTkRZME5UWmtOV0l3WXpObCIsInQiOiJqSlZLT3hud2NBYythTXQzTElEd0hlTmFSaThLcUZFQ3QzWGplYUp3SkwwNnh5VmlhUFRlNmYzbWlIa2piQkVUcEhVNVwvemtuelJKeHk1dkxDUWh4aXpDbHZhcU0yNk9ybVlpM2lNS21MZjFHWWlYSkhXVVNpa2lcL3ltVjdBY09NdlorbE5cL0Zpbm1yWm5sK1VyWXIyQmc9PSJ9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는 AWS 클라우드를 시작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필수 입문 교육 과정입니다.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 등 AWS의 핵심 서비스와 AWS 클라우드 활용의

kr-resources.awscloud.com

AWS의 온라인 컨퍼런스 참여는 3번째인것 같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니 참 편하고 좋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잘 알려주어서 유익했다.

그러나 역시 알고있는 서비스에 대해서만 잘 이해되고 보안은 등한시하게 되더라ㅎㅎ

그래도 데모영상도 좋았고 발표 자료나 퀴즈까지 재밌게 풀어보았다.

발표자료를 다운받았는데 여기에도 업로드해야짛ㅎㅎ나만의 S3야,,,무료야ㅋㅋㅋ

또 발표를 들으며 몇 부분은 정리를 해보았다.

발표는 5개의 모듈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1.클라우드 소개
2.클라우드 시작하기
3.클라우드에서 구축
4.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보호
5.AWS 요금,지원 및 아키텍처 설계

4번 모듈은 잘 집중을 안했고 나머지만 여기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모듈별로 퀴즈도 풀고 그 내용도 넣어봤다.

 

[1] 클라우드 소개

-클라우드란 기존의 온프레미스와 대비되어 (*온프레미스 IT환경:비지니스 환경에 필요한 인프라를 회사에서 직접 가지고 내부에서 관리하는 방법) 클라우드 서비스 회사에서 제공하는 인프라를 인터네을 통해 원격지에서 이용하는 방법

-AWS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회사.API를 통해

-필요할시 프로비저닝을 통해 이용할 수 있고 필요없으면 삭제 쉽게 가능

-3가지 배포모델

(온프레미스,프라이빗:가상화,클라우드 모방이 최근트렌드)

(하이브리드:온프레미스+클라우드:)

(클라우드:클라우드상에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사용,보안,확장성,관리가 용이)

-AWS 클라우드 사용이점:

자본비용을 가변비용으로 사용가능:시스템을 사전에 구축안하고 필요한때에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만 사용하고 비용지불하므로

거대한 규모의 경제:소유의 비용 줄이고,새로운 기능,높은 수준의 보안을 서비스 받을수 있다

용량추정 불필요:온디맨드로 조정(기존의 온프레미스는 추정치로 할당해놓는 방면)

속도 및 대응력 향상:기존의 인프라에선 직접 구축해야했던 서비스를 클라우드에선

미리 만들어진 기능을 바로 조합해서 사용가능하다.

데이터센터 운영 및 유지 선투자가 필요 없다:데이터 센터 구축 시간,노력비용까지

몇 분만에 전 세계에 배포:전세계의 여러 리전에 배포에서 더짧은 시간을 보장

*AWS보안

*AWS보안:규정 지키고 있으며 비용,확장성도

-AWS의 서비스 범주:온디맨드 방식으로 초단위로 약 140여가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바로 사용가능하도록 가능

-오늘은 핵심서비스들 중심으로 알아볼 것

-그전에 글로벌 인프라에대해서 살펴보자

전세계의 24? 하나의 리전은 2개의 가용영역(데이터센터)로 구성되어있다

한 개이상의 가용영역의 데이터센터의 클러스터로 이루어진 리전,독립적으로 이루어져있고 프라이빗 네트워크로 이루어져있다.

다른 가용영역으로부터 독립적->복수개 가용영역 분산해 하면 더 높은

-리전 선택하는 방법

-AWS의 글로벌

-리전과 함께 엣지로케이션:CDN,DNS서비스 지원하기 위한 시설,네트워크

글로벌 백본으로 연결되어있다.

-AWS의 관리 인터페이스 3가지:

AWS Management Console:,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접근 가능,직관적 GUI

CLI:파이썬 라이브러리로 구성

SDK:RestAPI를 랩핑하는 형태,CLI,Console도 사실SDK로 이루어져있다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시킬수 있다.인프라를 프로그램과 같이 자유롭게 변형가능

[2] 클라우드 시작하기

-AWS 서비스 시작하기

무엇부터 시작해야하는가 의문이 들 때 어떻게 해야할지 기초적인 여정

 

1.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EC2

-EC2:직접하는 온프레미스로 사용했던 인프라 EC2로 사용 가능한 웹 기반 가상머신

-이점:

탄력성:오토스케일링으로 성능 극대화와 비용 최소화도 가능

제어:원할 때 중단,재시작,제거 가능

유연성:여러 인스턴스 타입 제공:각각의 CPU,메모리,네트워크 성능에 따라 small,medium,large제공,나중에 변경도 가능

통합:RDS 등과 같은 서비스와 통합도 가능

안정성:99.99%의 가용성.이벤트 발생 최소화

보안:클라우드 보안+컴퓨팅 리소스 계층적 보안

비용:자유로운 제어 통해 합리적,저렴,,?,오토스케일링으로 트래픽이 밀리는 때에 전략적

용이성:접근성이 Management Console.CLI,SDK로 모두 가능

 

-인스턴스 유형:여러가지 유형으로 사용자가 선택가능

기준:패밀리 타입을 먼저 선택해보자

범용/컴퓨팅 성능 집약적(CPU)/GPU/메모리

인텔 제온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인스턴스 기능을 나눠

-C5n:컴퓨팅 최적화 인스턴스:향상된 네트워크 처리량,C5에 비해 메모리 크다

-R5:메모리 최적화 예),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등

-z1d:스레드 성능:뛰어난 컴퓨팅과 메모리.데이터 분석 등

-M5:차세대 범용:균형있게 컴퓨팅,메모리,네트워킹이 균형적,데이터베이스,게이밍,웹서버 등등

-T3:필요한 경유 언제든지 기준 이상 사용가능:트래픽이 갑자기 밀릴 때 사용가능,가격대비 성능

 

-인스턴스 타입 고르고 운영체제 고르기

-플랫폼은?

-AMI:인스턴스의 루트(API),어플리케이션 서버,

-AMI로 시작 제어 권한, 등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저장 옵션

EBS:

-인스턴스용 영구 블롯 스토리지 대표적,인스턴스 하나에 여러 EBS연결 가능

EBS는 가용영역에 복제되어 이벤트 발생되도 안전, 필요에 따라 EBSSSD(뛰어난 IoS)HDD선택 가능

-볼륨 확장,축소 용이->사용한 부분에 대해서만(프로비저닝) 비용 지불

-스냅샷 기능,다른 리전으로도 복제해 사용가능

-필요하다면 EBS에 저장한 것을 암호화도 가능

->안전하게 가용성 높은

 

2.AWS의 대표적인 객체 스토리지인 S3서비스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키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빠르다

-내구성 11-9

S3의 핵심기능:management console,CLI,SDK

-높은 내구성,안정성->빠르다는 장점(당연 접근권한 있을 때)

-데이터 저장외에도 비용을 요청자가 지불/버전관리/호스팅/객체 수명 관리 옵션 있다

-객체 수명 주기 관리:Glacier-스토리지 클래스 옵션중 장기 백업위한 것

자주 접근 안 해도 장기 보관해야할 때 (검색시 3-5시간 걸릴수 있다->신속검색,대량검색 옵션을 또 제공) )디지털 보존,의료정보 아카이빙 등->오래동안 안전하게 보관해야할 가치

-Glacier의 볼트 잠금 정책 옵션:일정 시간 이후엔 잠겨서 수정 불가능 기능

-S3의 스토리지 클래스:

Standard:높은 내구성,가용성

Standard IA:자주 엑세스하진 않지만 빠른 처리 필요할 때 w

Intelligent-Tiering:자동으로 객체수명관리 서비스 제공

S3OneZoneIA:자주 엑세스 하지 않고 빠른 처리도 필요 없을 때

Glacier?:11-2번 엑세스하는 데이터 위해

 

-간단한 아키텍쳐 사례

게이트웨이로 리퀘스트 받아 EC2

인스턴스 스토어:EBS보다 성능 높지만 주기에 따라 휘발성있어

 

-데이터 보호 서비스 VPC

아마존 버쳐 :논리적으로 격리되어있는 가상의 네트워크

IP의 서브넷,라우팅 등 가상 네트워킹 서비스

보안 그룸 등 엑세스 제어 가능

 

-보안 그룹:인스턴스에 대해 접근 가상 방화벽

하나의 서브넷에 있는 여러 리소스 별도로 제어 가능

인바운드-아웃바운드 둘 다 서

보안그룹

C:보안그룹 B에 보호되는 리소스라 트래픽을 발생시키면~~임바운드 서비스로 서비스하는 체이닝

보안그룹:상태 저장의 성격,인바운드 기본적으로 모두 거부되므로 허용해야 가능,아웃바운드 기본적으로 모두 허용

보안그룹 예)

 >데모 영상:S3사용방법이었던 듯

 

[3]클라우드에서 구축

클라우드에서 구축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들

>데모 영상:Elastic Beanstalk

 

[4]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보호

보안 방법

 

[5]AWS 요금,지원 및 아키텍처 설계

-요금 발생하는 것 들: 컴퓨팅,스토리지,데이터 전송

-문제가 생겼을시 보호받는방법

-여러가지 아키텍처 사례

 

+덧1)퀴즈 푼 내용

mktg-apac.s3-ap-southeast-1.amazonaws.com/FY20+Q4+AWSome+Day/PDF+handouts/Quiz+Handouts/20Q4+AWSome+Day_Quiz_KR.pdf

모듈1 퀴즈
모듈2 퀴즈
모듈3 퀴즈
모듈4 퀴즈
모듈5 퀴즈

 

+덧2)AWS공부를 더하고 싶다거나 자격증 생각이 생길까봐 링크를 남겨둬야겠다.

 

2)강의실 교육/AWS 디지털 교육 리소스

aws.amazon.com/ko/training/course-descriptions/

w.aws.training

 

 

AWS training and certification

 

www.aws.training

www.aws.training/

 

AWS training and certification

 

www.aws.training

3)AWS 자격증

클라우드 관련 역량을 검증하여 전문성을 입증해주는 AWS 공인 자격증

aws.amazon.com/ko/certification/

 

AWS Certification - AWS 클라우드 스킬 검증 - AWS 인증 받기

6개월의 기초 AWS 클라우드 및 업계 지식

aws.amazon.com

4)Amazon Qwicklabs

AWS관련 다양한 실습(hands-on lab)제공

amazon.qwiklabs.com/

 

Qwiklabs - Hands-On Cloud Training

Qwiklabs provides real cloud environments that help developers and IT professionals learn cloud platforms and software, such as Firebase, Kubernetes and more.

amazon.qwiklabs.com

+덧3) 좋은 서비스가 많다(커뮤니티)

aws.amazon.com/ko/developer/

 

개발자를 위한 AWS | 프로그래밍 언어, 도구, 커뮤니티 | AWS 개발자 센터

개발자 여러분, 코딩해 봅시다-- 코딩 작업을 좋아하십니까? 원하는 작업이 귀하의 첫 애플리케이션 출시인가요, 아니면 새로운 기술의 학습입니까? AWS에서 ‘개발자 여러분, 코딩해 봅시다’

aws.amazon.com

awsomeday_resources1.7z
7.28MB
awsomeday_resources2.7z
3.8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