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의 온라인 컨퍼런스 참여는 3번째인것 같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니 참 편하고 좋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잘 알려주어서 유익했다.
그러나 역시 알고있는 서비스에 대해서만 잘 이해되고 보안은 등한시하게 되더라ㅎㅎ
그래도 데모영상도 좋았고 발표 자료나 퀴즈까지 재밌게 풀어보았다.
발표자료를 다운받았는데 여기에도 업로드해야짛ㅎㅎ나만의 S3야,,,무료야ㅋㅋㅋ
또 발표를 들으며 몇 부분은 정리를 해보았다.
발표는 5개의 모듈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1.클라우드 소개
2.클라우드 시작하기
3.클라우드에서 구축
4.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보호
5.AWS 요금,지원 및 아키텍처 설계
4번 모듈은 잘 집중을 안했고 나머지만 여기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모듈별로 퀴즈도 풀고 그 내용도 넣어봤다.
[1] 클라우드 소개
-클라우드란 기존의 온프레미스와 대비되어 (*온프레미스 IT환경:비지니스 환경에 필요한 인프라를 회사에서 직접 가지고 내부에서 관리하는 방법) 클라우드 서비스 회사에서 제공하는 인프라를 인터네을 통해 원격지에서 이용하는 방법
-AWS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회사.API를 통해
-필요할시 프로비저닝을 통해 이용할 수 있고 필요없으면 삭제 쉽게 가능
-3가지 배포모델
(온프레미스,프라이빗:가상화,클라우드 모방이 최근트렌드)
(하이브리드:온프레미스+클라우드:)
(클라우드:클라우드상에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사용,보안,확장성,관리가 용이)
-AWS 클라우드 사용이점:
자본비용을 가변비용으로 사용가능:시스템을 사전에 구축안하고 필요한때에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만 사용하고 비용지불하므로
거대한 규모의 경제:소유의 비용 줄이고,새로운 기능,높은 수준의 보안을 서비스 받을수 있다
용량추정 불필요:온디맨드로 조정(기존의 온프레미스는 추정치로 할당해놓는 방면)
속도 및 대응력 향상:기존의 인프라에선 직접 구축해야했던 서비스를 클라우드에선
미리 만들어진 기능을 바로 조합해서 사용가능하다.
데이터센터 운영 및 유지 선투자가 필요 없다:데이터 센터 구축 시간,노력비용까지
몇 분만에 전 세계에 배포:전세계의 여러 리전에 배포에서 더짧은 시간을 보장
*AWS보안
*AWS보안:규정 지키고 있으며 비용,확장성도
-AWS의 서비스 범주:온디맨드 방식으로 초단위로 약 140여가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바로 사용가능하도록 가능
-오늘은 핵심서비스들 중심으로 알아볼 것
-그전에 글로벌 인프라에대해서 살펴보자
전세계의 24개? 하나의 리전은 2개의 가용영역(데이터센터)로 구성되어있다
한 개이상의 가용영역의 데이터센터의 클러스터로 이루어진 리전,독립적으로 이루어져있고 프라이빗 네트워크로 이루어져있다.
다른 가용영역으로부터 독립적->복수개 가용영역 분산해 하면 더 높은
-리전 선택하는 방법
-AWS의 글로벌
-리전과 함께 엣지로케이션:CDN,DNS서비스 지원하기 위한 시설,네트워크
글로벌 백본으로 연결되어있다.
-AWS의 관리 인터페이스 3가지:
AWS Management Console:웹,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접근 가능,직관적 GUI
CLI:파이썬 라이브러리로 구성
SDK:RestAPI를 랩핑하는 형태,CLI,Console도 사실SDK로 이루어져있다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시킬수 있다.인프라를 프로그램과 같이 자유롭게 변형가능
[2] 클라우드 시작하기
-AWS 서비스 시작하기
무엇부터 시작해야하는가 의문이 들 때 어떻게 해야할지 기초적인 여정
1.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EC2
-EC2:직접하는 온프레미스로 사용했던 인프라 EC2로 사용 가능한 웹 기반 가상머신
-이점:
탄력성:오토스케일링으로 성능 극대화와 비용 최소화도 가능
제어:원할 때 중단,재시작,제거 가능
유연성:여러 인스턴스 타입 제공:각각의 CPU,메모리,네트워크 성능에 따라 small,medium,large제공,나중에 변경도 가능
통합:RDS 등과 같은 서비스와 통합도 가능
안정성:99.99%의 가용성.이벤트 발생 최소화
보안:클라우드 보안+컴퓨팅 리소스 계층적 보안
비용:자유로운 제어 통해 합리적,저렴,,?,오토스케일링으로 트래픽이 밀리는 때에 전략적
용이성:접근성이 Management Console.CLI,SDK로 모두 가능
-인스턴스 유형:여러가지 유형으로 사용자가 선택가능
기준:패밀리 타입을 먼저 선택해보자
범용/컴퓨팅 성능 집약적(CPU)/GPU/메모리
인텔 제온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인스턴스 기능을 나눠
-C5n:컴퓨팅 최적화 인스턴스:향상된 네트워크 처리량,C5에 비해 메모리 크다
-R5:메모리 최적화 예),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등
-z1d:스레드 성능:뛰어난 컴퓨팅과 메모리.데이터 분석 등
-M5:차세대 범용:균형있게 컴퓨팅,메모리,네트워킹이 균형적,데이터베이스,게이밍,웹서버 등등
-T3:필요한 경유 언제든지 기준 이상 사용가능:트래픽이 갑자기 밀릴 때 사용가능,가격대비 성능
-인스턴스 타입 고르고 운영체제 고르기
-플랫폼은?
-AMI:인스턴스의 루트(API),어플리케이션 서버,
-AMI로 시작 제어 권한, 등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저장 옵션
EBS:
-인스턴스용 영구 블롯 스토리지 대표적,인스턴스 하나에 여러 EBS연결 가능
각 EBS는 가용영역에 복제되어 이벤트 발생되도 안전, 필요에 따라 EBS를 SSD(뛰어난 IoS)나HDD선택 가능
-볼륨 확장,축소 용이->사용한 부분에 대해서만(프로비저닝) 비용 지불
-스냅샷 기능,다른 리전으로도 복제해 사용가능
-필요하다면 EBS에 저장한 것을 암호화도 가능
->안전하게 가용성 높은
2.AWS의 대표적인 객체 스토리지인 S3서비스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키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빠르다
-내구성 11-9
S3의 핵심기능:management console,CLI,SDK로
-높은 내구성,안정성->빠르다는 장점(당연 접근권한 있을 때)
-데이터 저장외에도 비용을 요청자가 지불/버전관리/호스팅/객체 수명 관리 옵션 있다
-객체 수명 주기 관리:Glacier-스토리지 클래스 옵션중 장기 백업위한 것
자주 접근 안 해도 장기 보관해야할 때 (검색시 3-5시간 걸릴수 있다->신속검색,대량검색 옵션을 또 제공) 예)디지털 보존,의료정보 아카이빙 등->오래동안 안전하게 보관해야할 가치
-Glacier의 볼트 잠금 정책 옵션:일정 시간 이후엔 잠겨서 수정 불가능 기능
-S3의 스토리지 클래스:
Standard:높은 내구성,가용성
Standard IA:자주 엑세스하진 않지만 빠른 처리 필요할 때 w
Intelligent-Tiering:자동으로 객체수명관리 서비스 제공
S3OneZoneIA:자주 엑세스 하지 않고 빠른 처리도 필요 없을 때
Glacier?:1년 1-2번 엑세스하는 데이터 위해
-간단한 아키텍쳐 사례
게이트웨이로 리퀘스트 받아 EC2
인스턴스 스토어:EBS보다 성능 높지만 주기에 따라 휘발성있어
-데이터 보호 서비스 VPC
아마존 버쳐 :논리적으로 격리되어있는 가상의 네트워크
IP의 서브넷,라우팅 등 가상 네트워킹 서비스
보안 그룸 등 엑세스 제어 가능
-보안 그룹:인스턴스에 대해 접근 가상 방화벽
하나의 서브넷에 있는 여러 리소스 별도로 제어 가능
인바운드-아웃바운드 둘 다 서
보안그룹
C:보안그룹 B에 보호되는 리소스라 트래픽을 발생시키면~~임바운드 서비스로 서비스하는 체이닝
보안그룹:상태 저장의 성격,인바운드 기본적으로 모두 거부되므로 허용해야 가능,아웃바운드 기본적으로 모두 허용
보안그룹 예)
>데모 영상:S3사용방법이었던 듯
[3]클라우드에서 구축
클라우드에서 구축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들
>데모 영상:Elastic Beanstalk
[4]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보호
보안 방법
[5]AWS 요금,지원 및 아키텍처 설계
-요금 발생하는 것 들: 컴퓨팅,스토리지,데이터 전송
-문제가 생겼을시 보호받는방법
-여러가지 아키텍처 사례
+덧1)퀴즈 푼 내용
+덧2)AWS공부를 더하고 싶다거나 자격증 생각이 생길까봐 링크를 남겨둬야겠다.
2)강의실 교육/AWS 디지털 교육 리소스
aws.amazon.com/ko/training/course-descriptions/
3)AWS 자격증
클라우드 관련 역량을 검증하여 전문성을 입증해주는 AWS 공인 자격증
aws.amazon.com/ko/certification/
4)Amazon Qwicklabs
AWS관련 다양한 실습(hands-on lab)제공
+덧3) 좋은 서비스가 많다(커뮤니티)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하기 좋은 사이트들 (0) | 2020.12.12 |
---|---|
AWS 공부 7일차 - CloudFront 사용,마무리 (0) | 2020.07.02 |
AWS 공부 6일차 - 서버클라이언트, S3 WEB Hosting, CloudFront사용하기 (0) | 2020.07.01 |
AWS 공부 5일차 - 웹의 기초 (0) | 2020.06.30 |
AWS 공부 4일차 - S3 스토리지 클래스,요금체계,부가 기능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