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공부 3일차 - S3 시작하기

럭키🍀 2020. 6. 27. 18:23

AWS2 S3

1.수업소개
Simple Storage Service
AWS를 하나의 컴퓨터로 비유했을때 S3는 하드디스크 ssd,같은 저장장치

aws>서비스>s3
고장나지도 잃어버리지도 않는 저장장치를 찾는다 했을 때


s3의 이점:
내구성-"하나의 AWS 리전 내에서 수 킬로미터 거리가 떨어져 있는 최소 3개의 물리적 가용영역(AZ)에
자동으로 분산된다"
파일업로드하면 최개 3개 이상 카피되어서 멀리떨어져 존재하게된다
죽지 않는 파일서버가 생긴다.
버전관리 기능도 기본으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훨씬더 많은 기능제공하므로 complicate storage service가 더 적합한 얘기

 

어떤 서비스를 접할때 CRUD를 할 줄 알면 '다룰줄안다~' 싶다.
CRUD를 찾아보쟈

2.수업의 목적

3. 구성요소
S3는 3인방으로 이루어져있다.
-Bucket :하나의 프로젝트가 버킷 하나라 하자
-Bucket안에는 Folder
-Folder안에는 File(S3에서 Object라고 부른다)
*Object는 엄밀히 말해 파일과 파일에 추가하는 부가 정보가 S3의 필요ㅔ 의해 있을 수 있는데
이들을 묶어서 Object라고 한다 

버킷,폴더,파일을 생성하고 읽ㄱ고 수정하고 삭제하는것이 우리 수업의 방향

4.버킷 생성
정말 중요한 프로젝트가 있다고 가정하다.
프로젝트디렉토리>중요한 디렉토리>중요한 파일>중요한 내용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선 S3를 통해 간편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ws콘솔에 로그인>
서비스>스토리지>S3>버킷만들기
버킷만들기 창
버킷이름은 고유한 이름을 써야함
리전 선택 서비스할곳과 가까운곳 해야 빠르게 접근가능하다
*옵션 구성:다음버튼 눌러서 세부 속성 선택할시
-버전관리:파일을 후에 수정하더라도 과거내용도 복원가능
-서버엑세스 로깅
-태그:과금시 태그이용해 세밀하게 할 수 있다.
-기본 암호화:누군가 혹은 아마존측에서라도 우리 파일에 접근한다면 안전하게 보관하려고
-퍼블릭 엑세스 설정:
 ❌공개파일 업로드시 공개를 차단할지(거절)말지
 ❌버킷을 완전 비공개로 사용하겠으면 체크
 ✔정책관리 둘다 체크
=>버킷 만들기 버튼 클릭
끝!

5.폴더
버킷에 디렉토리 만들기
만들어진 버킷을 눌러서 들어가기>버킷 개요페이지>폴더만들기>
*S3는 이름바꾸기 쉽지 않으므로 새 폴더를 만들고 옮기고 기존의 것을 삭제하는 식으로 해야한다


6.객체 파일
데이터가 담기는 그릇이라 할 수 있는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
객체=파일
버킷>드래그해서 업로드하기>업료드 창
*업료드창 가격,속도,안정성에 따라 비용이 달라진다
 파일의 중요도가 쓰임새에 따라 선택지가 주어진다.>스탠다드했을때
파일 선택시 속성,권한 수정가능
오른쪽마우스 >삭제버튼으로 삭제 가능

아니 이럼 본질은 살펴본거라니깐..?

7.공유와 권환
이외에 주목 할만한것
객체를 누구나 볼 수 있게하기 위해선 권한을 살펴봐야한다
버킷>디렉토리>객체를 선택했을때 나오는 링크를 복사해서 주면 된다


점근할수 없다면 AccessDenied창이 뜨므로
방법1.권한을 눌러서보면
퍼블릭 엑세스물러서 객체읽기를 체크하고 저장
방법2.오브젝트 오른쪽마우스>퍼블릭으로 설정
다시 경로로 들어가면 공개가된거야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공부 5일차 - 웹의 기초  (0) 2020.06.30
AWS 공부 4일차 - S3 스토리지 클래스,요금체계,부가 기능  (0) 2020.06.29
AWS 공부 2일차  (0) 2020.06.26
AWS Educate 사용하기  (0) 2020.06.26
AWS 공부 시작  (0) 2020.06.25